특질 연구자들은 성격을 안정되고 지속적인 행동 패턴으로 정의한다. 특질이란 사람들의 특징적 행동과 의식적 동기를 말한다. 그렇다면 이론가들은 어떻게 특질들을 사용하여 성격을 기술하고 분류할 수 있는 것인가? 한 가지 방법은 개인이 주목할만한 특질 그리고 그 특질과 연합된 특성을 나타내는 광의적 성격 유형(type)들을 사용하여 사람을 기술하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 인들은 성격을 네가지 유형에 따라서 기술한다. 그리스 인들은 어떤 채액이 주도적이냐에 따라 우울질(우울), 다혈질(유쾌), 점액질(냉담), 답즙질(성마름)로 분류하였다.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와 그녀의 어머니 캐슬린 브릭스가 제안한 최근 분류는 126가지 질문에 대한 반응에 기초하여 사람들의 성격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는 아주 단순한 것인데 이검사는 "당신은 일반적으로 논리보다 감정에 더 가치를 부여합니까? 아니면 감정보다 논리에 더 가치를 부여합니까? 와 같은 선택지를 제시한다. 그런 다음에 피검자의 선호를 계산하여 예컨대 '감정' 유형이나 '사고' 유형 등의 이름을 붙이고는 피검자에게는 칭찬성 용어로 피드백을 주게 된다. 예컨대, 감정 유형에게는 진실의 객관적 기준을 선호하며, 분서력이 뛰어나다고 말해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드백받은 유형 프로파일에 동의한다. 프로파일은 자신이 선택한 선호도를 반영하며 기분 좋게 만들어준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에게 붙여진 유형의 이름을 자신의 기질에 적합한 작업과 파트너를 선택하는 근거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러나 국립연구위원회 보고서는 이 검사가 기업과 직업상담에서 대중적인 인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직업 성취 예언자로서의 가치에 있어서는 그 유용성이 연구결과를 앞지로 있으며 과학적 가치가 증명되지 않은 도구가 유행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요인분석
요인분석은 지능의 기본 성분들인 공간능력 언어기술로 뽑아내는 검사항목으로 군집을 확인해내는 통계절차로 소개되었다. 자신을 외향적이라고 기술하는 사람이 자극적인 것과 농담을 좋아하며 조용히 책 읽는 것을 싫어한다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고 상상해 보라. 이렇게 통계적으로 상관된 행동 군집은 기본 요인 또는 특질인 경우 외향성(extraversion)이라고 한다. 영국 심리학자 한스 아이젱크와 시빌 아이젱크는 정상적인 개인 간의 많은 변산성이 외향성-내향성과 정서적 안정성-불안정서 포함한 두세 개의 차원으로 축소될 수 있다고 믿었다.
몇몇 기법은 개인의 행동패턴에 대한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흔히 외향성, 불안, 자존감 등과 같은 단일 특질을 신속하게 평가할수 있게 해 준다. 성격검사(personality inventory)는 광범위한 감정과 행동을 다른 긴 목록의 질문지를 통해 여러 특질을 동시에 평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온 성격검사는 미네소타 다면 성격검사이다. 이 거사는 정상적인 성격특질보다 비정상적 성격 경향성을 평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성격검사를 개발하는 좋은 지침을 제공한다. 개발자인 스타키 하다 웨이는 자신의 노력을 알프레드 비네의 노력에 비유하였다. 비네는 프랑스 초등학교에서 정상적 수업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을 변별해 주는 문항들을 선정함으로써 최초의 지능검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의 항목들도 경험적으로 유도되는 것들이다. 즉 하다 웨이와 그의 동료들은 많은 항목들 중에서 특정한 집단집단이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에 10개의 임상 척도로 묵었다. 하다 웨이와 그의 동료들은 우선 그렇다와 아니다로 반응할 수 있는 수백 개의 진술들을 심리적 장애 집단에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환자 집단과 정상 집단이 다르게 반응하는 진술들을 선정하였다.
오늘날에는 아이젱크의 내외향성과 안정/불안정 차원의 특질이 중요하게 여기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고 주장하여 5대요인이라고 부르는 성실성, 우호성, 신경증 경향, 개방성, 외향성)이다.
'스포츠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 심리장애 (0) | 2023.06.27 |
---|---|
[심리] 심리 장애 (0) | 2023.06.26 |
[심리학] 성격이론 (0) | 2023.06.22 |
[심리학] 성격과 발달 (0) | 2023.06.21 |
[심리학] 성격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