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는 생리적 각성(심장의 두근거림), 표현적 행동(행동의 속도가 빨라짐) 그리고 사고와 감정을 포함한 의식적 경험의 혼합체이다.
생리적 각성과 행동표현 그리고 정서경험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두가지 쟁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생리적 각성이 정서경험에 선행하는 것인가? 아니면 뒤따르는 것인가?
두 번째는 사고와 감정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상식적으로 슬프기 때문에 눈물이 나며, 화가 나기 때문에 때리고, 무섭기 때문에 벌벌 떤다. 우선 의식적 지각이 이루어진 다음에 생리적 변화가 수반된다. 그러나 심리학의 선구자인 윌리엄 제임스는 정서에 관한 이런 상식적 견해를 완전히 다르게 해석했다. 제임스는 우리가 울기 때문에 슬프고, 때리기 때문에 화가 나고, 벌벌 떨기 때문에 무서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차를 운전하다가 길에서 갑자기 미끄러지자 급하게 브레이크를 밟았던 경험이 있다면 그 브레이크를 밞아 요동을 멈춘 직후 심장이 고동치고 무섬을 느꼈을 것이다. 이는 공포감이 신체 반응에 뒤따르게 되었던 것이다.
제임스의 이론은 덴마크의 생리학자인 칼 랑게도 같은 이론을 내놓았기 때문에 이를 제임스-랑게 이론이라고 한다.
제임스-랑게 이론을 미국 생리학자인 월터 캐논은 이를 반박하였다.
캐논은 신체반응이 각기 다른 정서를 유발시킬 만큼 분화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심장의 고동이 선호하는 것은 공포인가? 분노인가? 아니면 애정인가? 또한 맥박과 호흡, 그리고 체온의 변화는 급작스러운 정서를 유발하기에는 너무 느리다. 또 다른 생리학자인 필립 바드는 생리적 각성과 정서경험이 동시 발생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즉, 정서촉발 자극은 두뇌피질로 전달되어 정서의 주관적 자각으로 이끌어가는 동시에 교감신경계로 전달되어 신체의 각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캐논-바드 이론은 공포를 경험할 때 심장도 뛰게 되는 것이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함축한다.
이와 다르게 샥터와 제롬 싱어는 제3의 이론을 제안하였다. 즉, 생리적 반응과 인지가 지각과 기억 그리고 해석과 함께 정서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2 요인 이론에서 정서는 두 가지 성분, 즉 각성과 인지적 표지를 가지고 있다. 제임스와 랑게의 이론과 같이 샥터와 싱어는 정서경험이 신체 각성의 지각에서 유래한다고 가정하였다. 반면 캐논과 바드와 마찬가지로 정서가 생리적으로는 유사하다고 믿었다. 따라서 이들의 견해에서 정서경험은 각성의 의식적 해석을 필요로 한다.
정서의 신체적 구현
오랫동안 기다렸던 휴가를 간절하게 기대하거나, 사랑에 빠지거나, 아니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든지 간에 정서가 신체반응을 수반한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신체가 없는 감정이란 폐가 없이 호흡하는 꼴이다. 어떤 신체적 반응은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반면 다른 신체반응들은 지각되지 않은체 일어 난다. 어두운 길에서 오토바이가 등 뒤에서 속도를 줄이는 소리를 듣는다면, 우리의 근육은 긴장하고, 위장은 요동치며, 입이 마르게 된다.
o 정서와 자율 신경계
행동을 위하여 자율신경계가 활성화됨에 따라서 눈에 뜨이는 지는 않지만 신체도 행위를 위한 반응을 보인다.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간은 혈액에 여분의 포도당을 내놓는다. 포도당을 태우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호흡이 빨라진다. 내장기관의 혈액을 근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소화가 느려진다. 혈당이 근육에 공급됨으로써 달리기가 훨씬 쉬워진다. 동공은 확장되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인다. 흥분된 신체를 식히기 위하여 땀을 흘린다. 상처를 입게 되면 혈액이 보다 신속하게 응고한다. 이렇게 아무런 의식적 노력을 하지 않아도 위험에 대한 신체의 반응은 놀라우리만치 협응적이고 적응적이다. 즉, 적극적으로 싸우거나 도망가도록 준비시켜 준다.
자율신경계는 각성을 제어 한다. 교감신경계는 콩팥 위에 붙어 있는 부신으로 하여금 스트레스 호르몬인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을 분비토록 한다. 이러한 호르몬의 증가는 맥박과 혈압 그리고 혈당 수준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위기가 지나가면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어 신체를 안정시킨다. 부교감신경계가 스트레스 호르몬의 방출을 억제시킨 후에도 혈액에 이미 분비된 호르몬들이 계속 작동함으로써 각성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o 정서의 남녀 차이
심리학자 주디스홀은 비언어적 단서에 대한 민감도를 다룬 125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정서적단서를 읽어내는 데 여성이 남성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여성의 비언어적 민감도는 거짓말을 밝히는 데 있어서도 우월성을 보인다. 그리고 여성은 남녀 쌍이 정말로 연인 사이인지 아닌지 겉으로만 그런 척하는 사이인지를 구분해 내고, 사진 속의 두 사람 중에 누가 상사인지 구분을 해내는 데 있어서도 남성보다 우월하다.
여성의 비언어적 민감성은 여성의 정서적 언어표현혁이 뚜어난 이유를 설명해 준다. 리자 페드만 바렛은 남성들에게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기술하도록 요구하였을 때, 비교적 단순한 정서반응을 기술하였다.
상대방의 정서를 탐지해내는 여성의 기술은 긍정적인 상황과 부정적인 상황 모두에서 풍부한 정서적 반응을 나타나게 도움을 줄 수 있다. 26개 문화에서 23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여러 연구에서 보면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감정에 더 개방적이다. 이 는 정서성이 보다 여성적인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스포츠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분노 (0) | 2023.06.09 |
---|---|
[심리학] 공포 (0) | 2023.06.08 |
[뇌] 뇌의 구조 (0) | 2023.06.06 |
[심리학 이론] 동기_욕구의 4가지 이론 (0) | 2023.06.05 |
[심리학] 기억과 망각(forgetting) (0) | 2023.06.04 |